SAP FCM/주요 개념

그룹(Group)

SAP FCM Insight Hub 2024. 10. 15. 11:36
SMALL

 

배부 주기 또는 Reporting 목적으로 표준 트랜잭션 코드 내에서 제공하는 그룹을 활용 가능

 

개요

그룹과 세트는 Table 구조상 유사한 형태로 관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룹과 세트는 아래의 차이가 있다.

 

그룹 : SAP 표준 트랜잭션 코드로 제공된다.

세트 : Table 상 구조는 유사하나, 각 그룹 별 표준 트랜잭션이 존재하지 않고 사용자가 구조화를 원하는 테이블과 칼럼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정 그룹

계정 그룹은 사용하는 회사도 있고 사용하지 않는 회사도 다수이다. 최초 프로젝트 당시 설계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계정 그룹의 목적은 G/L Account 의 묶음 단위로 조회하는 것이므로,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기초자료로 쓰이기도 한다. 또는 계정 그룹 외에 재무제표 버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계정 그룹은 일반 트랜잭션으로 운영 시스템 내에서도 유지보수가 가능한 반면에, 재무제표 버전은 IMG 사항으로 Transport 를 통해서만 반영이 가능하다.

 

아래는 화면 예시로 KDH1 (트랜잭션) 에서 계층구조를 정의하여 각 Node 마다 G/L Account 를 Assign 가능하다.

 

원가요소 그룹

계정 중에서도 CO Object 를 입력하여 관리하는 주로 PL 성격의 계정들은 원가요소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G/L Account 들은 FS00 (트랜잭션) 에서 Primary Costs or Revenue 또는 Secondary Costs / Revenue Account Group 으로 분류된다.

 

주로, 비용 배부 주기 내에서 원가요소 그룹으로 입력되거나 Report 상에서 입력 조건으로 활용될 수 있다.

 

비용 배부 관점과 Reporting 목적은 유사할 수도 있고 다른 용도로 관리될 수도 있다. 단, 중복을 최소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유지보수 관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비용 배부와 Report 에서 사용되는 원가요소 그룹이 다르다면, 모든 원가요소 그룹을 신규로 생성하지 않고 표준 원가요소 그룹 내에서 사용되는 최하위 원가요소 그룹을 상속하여 필요한 원가요소 그룹에 Assign 하여 사용할 수 있겠다.

 

아래는 KAH1 (트랜잭션) 화면 예시로, 계정 그룹 화면과 유사하나 본 화면에서는 원가요소가 존재하는 계정만 Assign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다.

 

손익센터 그룹

모든 그룹의 용도가 유사하듯이 손익센터 그룹은 손익센터를 Grouping 하여 사용하는 목적이다.

손익 단위는 손익센터이고, 그 손익센터를 Grouping 하는 상위 사업부 단위가 존재할 경우 적정하다.

 

아래는 KCH1 (트랜잭션) 으로 계층구조의 형태로 구성되며, 최하위에 손익센터를 Assign 할 수 있다.

 

 

코스트센터 그룹

코스트센터를 최하위 Object 로 하여 코스트센터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관리회계에서 필수적으로 관리되는 그룹이라고 할 수 있겠다.

코스트센터를 단위로 하여 배부 또는 Report 목적으로 유연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래는 KSH1 (트랜잭션) 화면이다.

특이사항으로는 모든 코스트센터는 표준계층구조라는 계층구조에 반드시 Assign 이 되어야한다.

여기서 표준계층구조라는 것은 아래 마스터에서 Hierarchy area 를 의미하는 것으로, 각 관리회계 영역과 1:1 로 Assign 이 되어 있는 Configuration 항목이다.

 

표준계층구조에 Assign 이 되는 것은 필수 항목이고 이외에 사용자가 Reporting 이나 배부 주기 내에서 유연하게 사용이 가능한 코스트센터 그룹을 신규로 생성이 가능하다. 이 때 생성하는 코스트센터 그룹은 아래 표준계층구조와는 무관하게 용도에 맞게 관리하는 항목이다.

 

 

내부 오더 그룹/WBS 그룹/통계주요지표 그룹/액티비티 타입 그룹

앞서 자세히 설명한 그룹 외에도 주요 기준정보 단위로 그룹이 관리될 수 있다.

해당 그룹의 유지보수 방법은 앞서 설명한 형태와 동일하다. 단 최하위에 Assign 되는 Object 들의 단위만 차이가 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