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FCM/재무 회계

일반 회계(General Ledger Accounting) : 사업장(Business Place)

SAP FCM Insight Hub 2024. 10. 18. 22:44

 

매출/매입 부가세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이를 집계하여 세무신고가 진행되는 회사 하위의 신고/납부 단위

 

개요

재무회계에서 사용되는 조직 성격의 마스터 데이터의 유형은 아래 3가지로 볼 수 있다.

회사코드 : 재무제표 산출 단위

사업영역 : 회사 하위의 구분회계 데이터 산출 단위

사업장 : 부가세 데이터 산출 단위

 

사업장 단위

사업장은 세무 목적으로 관리되는 조직 단위이다.

이렇게 생성된 정보는 이후에 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를 위한 기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사코드는 회사코드 단위로 재무제표를 산출하는 단위라면 회사코드 하위의 사업장은 세무 신고 및 계산 관점의 최소 단위가 되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업을 개시하면서 사업자등록증을 신청하고 발급받게 되는데, 사업자등록증번호와 SAP 의 사업장 단위는 동일하다.

(한국 기준 SAP 사업장 마스터에 사업자등록번호 관리)

 

예외적으로 한국의 경우, 주사업장총괄납부와 사업자단위과세 방식을 통해 사업장 관리가 변경될 수 있다.

 

① 주사업장총괄납부

세금계산서의 발행은 개별 사업장 단위로 수행하나 부가가치세 신고와 납부의 경우에만 주사업장에서 총괄하여 수행하는 방식이다.

(사업장 코드 각각 관리)

 

② 사업자단위과세

부가가치세 신고와 납부 외에도 모든 부가가치세 일련의 행위를 나의 본점 사업장을 통해서만 수행한다.

(사업장 코드 단일 관리)

 

부가세 전표 시나리오

전표 생성 시점에 부가가치세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가가치세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사전에 정의된 부가가치세율 (10%) 가 과세표준 금액 라인과 분리하여 추가된다.

 

① Tax Code 별 G/L Account Assign

OB40 (트랜잭션) 을 통해 Tax 유형 별 Tax Code 별 이에 해당하는 매입부가세, 매출부가세 계정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② Calucate Taxes on Net or Gross Amount

부가세 금액을 계산하는 방식은 아래 Editing Options 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Calculate Taxs on Net Amount 선택 시 : 입력한 PL 라인 금액안에 이미 부가세 포함된 것으로 계산한다.

Calculate Taxs on Net Amount 미선택 시 : 입력한 PL 라인 금액안에 부가세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계산한다.

 

③ 매출 부가세 전표 - Gross Amount

G/L Account : 매출 계정 41000000

Tax Code : 매출 부가세 코드 AA (10%) 입력

Calculate Tax : 매출 부가세 자동 계산 목적 체크

G/L Account : 22000000 은 Configuration 중 (MWS 라는 거래키와 Tax Code) 의 조합으로 결정

Amount : 41000000 라인에 입력된 과세표준 1,000 KRW * 10% 부가세율이 적용 

 

④ 매입 부가세 전표 생성 - Net Amount

G/L Account : 매출 계정 63001000

Tax Code : 매출 부가세 코드 V5 (10%) 입력

Calculate Tax : 매입 부가세 자동 계산 목적 체크

 

G/L Account : 12600000 은 Configuration 중 (VST 라는 거래키와 Tax Code) 의 조합으로 결정

Amount : 10010000 라인에 입력된 금액 1,000 KRW * (1 ÷ 11) 부가세율이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