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FCM/관리 회계

제품 원가계산(Product Costing) : 자재 원장 가공비 재평가 흐름(Processing Cost in the Material Ledger Flow)

SAP FCM Insight Hub 2025. 3. 14. 18:10

 

월 중에 계획 단가로 계산된 가공비는 월말에 실제 단가만 계산하고 생산 오더 정산 후에 자재원장 전표로 반영

 

개요

월 중에는 코스트센터와 액티비티 유형에 등록된 계획 단가 기준으로 투입되었다가, 월말 코스트센터 실적 집계 종료 이후에 실제 가공비 단가가 계산되고 (생산 오더 정산 후 자재 원장 과정에서) 추가 가공비 기표까지 완료하는 방식이다.

 

Event Based Settlement > 실제원가 분할 (KSS2) > 가공비에 대한 실제 단가 계산 (KSII) > > 자재원장 정산 (CKMLCP) 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방안은 Public Cloud 에서 제공되는 Event Based Settlement 시나리오와도 관련이 있다.

Event Based Production Order 를 사용하면 별도의 Settlement (KO88, CO88) 과정 없이, 생산 오더에 투입 즉시 재공품 또는 Variance 가 계산되는 방식이다.

 

가공비 추가 기표 분을 생산 오더 정산 전에 반영하거나 자재 원장 결산 과정 중에 반영하거나, 시점과 회계 전표의 형태만 차이가 있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원가 금액은 동일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처럼 Event Based 생산 오더 방식에서는 실시간 Balance 계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월 말에 가공비 Posing 을 진행한다면 (첫 번째 방법처럼) 생산 오더 별 Balance 의 실시간 계산이 어려워지게 되므로, 자재원장 결산 시점에 일괄 반영하는 것이 현재로써는 적절한 상황이다.

 

가공비 재평가 시나리오

① 월중 가공비 투입

이 부분은 이전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제조 코스트센터에서 발생한 이러한 가공비는, 월중에는 계획 단가 (임률) X 투입 실적 (Activity Type 수량) 을 기반으로 제조 코스트센터 실적에서 차감되면서 생산 오더 등으로 투입되는 구조이다.

 

Debit) Activity Type (생산 오더) XX

Credit) Activiy Type (코스트센터) XX

 

② 월말 가공비 정산

실제 단가 계산까지는 완료되나, 가공비 추가분에 대한 Posting 은 생산 오더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제조 코스트센터 별 Activity Type 별 실제 단가의 계산까지만 이루어진다.

 

③ 생산 오더 정산

앞서 언급한것 처럼, Event Based 생산 오더 방식은 Balance 변화분을 즉시 재공품 또는 Variance 로 반영해주기 때문에 별도 수행이 불필요하다.

 

④ 자재원장 정산

가공비 추가 정산 전표

자재원장 정산 시점에 이 금액 (가공비 추가 정산분) 이 (PRL / AUI) 이라는 거래키를 담아 전표로 생성되면서, 제조 코스트센터의 남은 잔액을 모두 차감하게 된다.

 

Debit) 가격 차이 (PRL) - 가공비 추가 발생 분 - 상계

Credit) 가격 차이 (AUI) - 가공비 추가 정산 분

 

가공비 가격 차이 전표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PRL 거래키를 상계하고, 가공비에 대한 가격 차이를 PRY 거래키로 전표가 생성된다.

 

Debit) 가격 차이 (PRY) - 자재원장 발생 분 - 상계

Debit) 가격 차이 (PRL) - 가공비 추가 정산 분 - 상계

 

자재 원장 정산 전표

위 가격 차이 (PRY) 는 다른 가격 차이 등과 합산되어 아래의 형태로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등으로 배부 된다.

 

Debit) 재고자산 XX or 매출원가 등 XX

Credit) 가격 차이 (PRY) - 자재원장 정산 분 - 상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