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통비 배부 과정에서 Sender 코스트센터가 Receiver 코스트센터에도 존재하는 경우, 반복 배부 시나리오 적용 가능
개요
비용 배부 과정에서 Sender 에 등록된 코스트센터를 Receiver 에도 등록하는 상황이다.
Sender 의 금액이 Receiver 로 배부되고, 배부받은 금액은 다시 Sender 에 포함되어 계속 배부되는 형태이다.
그리하여 Sender 가 가지고 있는 금액의 잔액이 최종적으로 0 이 될 때까지 배부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배부 구조를 채택한 경우에는, 최종 배부 금액이 어떻게 산정되었는가에 대한 추적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보인다.
다만, 기능적인 관점에서 어떤 구조로 작동하는 지 결과 관점에 확인해보도록 하자.
반복 배부 시나리오
① 배부 사이클
KSV1 (트랜잭션) 배부 사이클의 Header 에 Iterative 지시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세그먼트 생성화면이다.
Sender 코스트센터에는 ZSENDER 코스트센터를 입력하였고, Receiver 코스트센터에는 Range 값으로 ZSENDER 코스트센터를 포함하여 입력하였다.
끝으로 배부 기준은, 아래와 같이 30%, 30%, 40% 를 각각 입력하였다.
배부 사이클 기준으로 보면 ZSENDER 코스트센터에서 발생한 비용 중 40% 는 다시 ZSENDER 코스트센터에 배부 받게 된다.
② 배부 결과
KSV5 (트랜잭션) 수행한 결과이다.
ZSENDER 코스트센터에서 최초 발생한 1,000.00 USD 는
ZRECEIVER1 코스트센터와 ZRECEIVER2 코스트센터에 각각 500.00 USD 만큼 되었다.
결론적으로 Receiver 코스트센터에 입력되었던 ZSENDER 코스트센터에는 배부 받은 금액이 없다.
위 전표는 결과화면이고, 이 내용을 해석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예시를 보면, ZSENDER 코스트센터의 금액은 점차 줄어들어 0 에 가까워지게된다.
0에 가까워지게된 배부의 결과가 위 전표와 동일하다.
1차 배부 : 1,000.00 USD 가 ZSENDER 에 400.00 USD 만큼 배부되었다.
2차 배부 : 400.00 USD 가 ZSENDER 에 160.00 USD 만큼 배부되었다.
3차 배부 : 160.00 USD 가 ZSENDER 에 64.00 USD 만큼 배부되었다.
구분 | 센더 | 리시버 | 배부 합계 | ||
코스트센터 | ZSENDER | ZRECEIVER1 | ZRECEIVER2 | ZSENDER | |
배부 기준 | N/A | 30% | 30% | 40% | |
1차 배부 | 1,000.00 | - 300.00 | - 300.00 | - 400.00 | - |
2차 배부 | 400.00 | - 120.00 | - 120.00 | - 160.00 | - |
3차 배부 | 160.00 | - 48.00 | - 48.00 | - 64.00 | - |
4차 배부 | 64.00 | - 19.20 | - 19.20 | - 25.60 | - |
5차 배부 | 25.60 | - 7.68 | - 7.68 | - 10.24 | - |
6차 배부 | 10.24 | - 3.07 | - 3.07 | - 4.10 | - |
7차 배부 | 4.10 | - 1.23 | - 1.23 | - 1.64 | - |
8차 배부 | 1.64 | - 0.49 | - 0.49 | - 0.66 | - |
9차 배부 | 0.66 | - 0.20 | - 0.20 | - 0.26 | - |
10차 배부 | 0.26 | - 0.08 | - 0.08 | - 0.10 | - |
11차 배부 | 0.10 | - 0.03 | - 0.03 | - 0.04 | - |
12차 배부 | 0.04 | - 0.01 | - 0.01 | - 0.02 | - |
13차 배부 | 0.02 | - 0.01 | - 0.01 | - 0.01 | - |
14차 배부 | 0.01 | - 0.00 | - 0.00 | - 0.00 | - |
배부 합계 | 1,666.66 | - 500.00 | - 500.00 | - 666.6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