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획 재료비/가공비의 발생부터 실제 재료비/가공비로 정산되는 각 마스터와 트랜잭션 데이터의 흐름
개요
SAP 원가회계에서 재료비와 가공비의 발생부터 실제원가로 정산되는 과정을 일련의 자료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자.
SCM 의 각 영역 그리고 재무회계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가 원가회계 영역에서 데이터가 집계되고, 집계된 데이터는 분할 구조와 자재 원장 정산 과정을 통해 자재의 실제원가가 확정 되어진다.
본 과정의 가공비 정산은 생산 오더에 반영되지 않고, 자재 원장에 직접 반영되는 방식으로 나타내었다.
자세한 흐름은 아래 표에 정리되었기 때문에, 각 단계에서 다루는 의미에 대해서 주로 살펴보자.

제조원가 및 제품원가 흐름 시나리오
① 분할 구조
분할 구조에서는 계정과 연관이 있는 각 액티비티 유형과의 연계성을 기준으로 예시에서는 기계시간과 노무시간으로 구분하였다.
그리하여 이러한 내용을 분할 구조로 일컬으며, 각 제조 코스트센터의 유형 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겠다.
② 관리 원장
관리 원장은 관리회계 영역의 데이터가 관리되는 전반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저장소로 간주하였다.
계획 가공비 구성을 위해 계획 데이터를 관리하고, 재무회계 비용 마감 이후에는 분할 구조를 활용한 실제 단가 계산 정보가 저장되는 흐름이다.
③ 생산 오더
생산 영역에서 자재 출고 또는 Confirmation 을 수행하는 시점에, 생산 실적이 투입될 수 있다.
최초 투입되는 시점에는 각 자재의 표준원가와 액티비티 유형의 계획 단가를 활용하여 회계 거래 금액이 반영된다.
④ 재무 원장
재무 원장에서는 비용 마감 이후에 가공비 실제 정산을 위해서 집계되었다.
각 코스트센터와 계정 별 집계된 금액과 분할 구조의 조합을 통해 코스트센터와 액티비티 유형 별 실제 단가가 계산되어진다.
⑤ 수불부
월중에 발생한 자재 기준의 입고와 출고 트랜잭션은 수불부에 수량과 표준원가 기준으로 기록된다.
생산 오더 투입 금액과 산출 금액의 차이 Balance 는 생산 가격 차이로 집계되어진다.
수불 상세 = 단가 정산으로 된 부분은, 재무 원장 마감 후 계산된 가공비의 실제 단가와 이미 생산 오더에 투입된 계획 단가의 차이를 정산하는 금액이다.
이 부분은 생산 오더에 반영될 수도 있고, 자재 원장에 반영될 수 있는 부분이다.
최종적으로 유형 별로 집계된 각 가격 차이는 개당 단가로 전환되고, 각 출고/기말로 수량 Base 로 배부되어 최종 자재의 실제원가를 구성하게 된다.
'SAP FCM > 관리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품 원가계산(Product Costing) : 생산 오더 흐름(Production Order Flow) (0) | 2025.03.18 |
---|---|
제품 원가계산(Product Costing) : 자재 전기 기간(Material Posting Period) (0) | 2025.03.18 |
제품 원가계산(Product Costing) : 구매 계정 활성화(Activate Purchase Account) (0) | 2025.03.18 |
제품 원가계산(Product Costing) : 액티비티 단가 흐름(Activity Price Flow) (0) | 2025.03.18 |
간접비 관리(Overhead Management) : 손익센터 & 배부(Profit Center & Distribution)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