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st Center 와 Activity Type 별 등록된 계획 단가와 투입 액티비티 수량만큼 계획 가공비 금액을 Cost Object 에 반영
개요
가공비 전표 (계획 단가 * 실적 수량) 반영하려면, 생산 영역에서 CO11N (트랜잭션) 등을 통해서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발생한 가공비 전표는 월중에 계획 단가를 근거로 발생하는 가공비 전표이므로, 제조 코스트센터의 실적을 차감하여 생산 오더로 투입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계획 가공비 금액은, 결산 시점에는 새롭게 실제 단가를 계산하면 최종적으로는 제조 코스트센터의 잔액이 0 으로 반영된다.
위에서 설명한 생산 Module 원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외에도 CO Module 에서는 직접 액티비티 배부 (Direct Activity Allocation) 방식으로 Activity Type 수량과 가공비 계획 단가를 근거로 가공비 실적 전표를 생성할 수 있다.
형식은 생산 트랜잭션 또는 원가 트랜잭션으로 구분은 되어 있으나, 발생하는 전표의 형식과 결과는 동일하다.
가공비 투입 시나리오
① 계획 가공비 단가 등록KP26 (트랜잭션) 을 통해 예상되는 계획 가공비의 단가를 등록할 수 있다.
제조 코스트센터와 액티비티 유형의 조합으로 계획 가공비의 단가는 아래와 같이 등록한다.
ZTEST 코스트센터에서 발생하는 ZLABOR 액티비티 유형의 계획 가공비 단가는 1,000.00 이다.

② 직접 액티비티 배부
KB21N (트랜잭션) 트랜잭션을 통해 Cost Object 에 계획 가공비를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Screen Variant 설정을 통해 생산 오더를 Receiver 로 변경하여 지정할 수 있다.

Sender Cost Center : 센더 코스트센터를 의미한다.
Sender Activity Type : Activity Type 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서 입력한 센더 코스트센터와의 조합으로 활용될 수 있다.
Total Quantity : 투입되는 액티비티 수량을 의미한다.
Amount : KP26 (트랜잭션) 에 입력된 코스트센터와 액티비티 유형 조합에 의한 계획 단가 정보이다.
위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하고, FB03 (트랜잭션) 에서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은 Accounting Document 확인이 가능하다.
대변에서는 코스트센터에서 실적이 차감되고, 차변으로 생산 오더에 반영되었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차변 : Activity Type (ZLABOR) - 생산 오더
대변 : Activity Type (ZTEST) - 코스트센터
② 코스트센터에서 차감된 실적
S_ALR_87013611 (트랜잭션) 에서 코스트센터 기준으로 발생한 실적을 조회해볼 수 있다.
액티비티 유형과 연결된 2차 원가요소를 기준으로 계획 가공비 금액이 제조 코스트센터에서 차감 (대변) 되어 조회된다.
③ 생산 오더에서 가산된 실적
트랜잭션 (KKBC_ORD) 에서 생산 오더에 가공비 실적 확인이 가능하다.
코스트센터에서 차감된 가공비 실적만큼, 생산 오더에 투입된 상태이다.
그래서 생산 오더만을 살펴보면 가공비만 투입된 상태에서 현재 정산 대상 Balance 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생산 오더의 Balance 금액은 이후에 Settlement 단계를 거쳐서 재공품 또는 Variance 로 Posting 되는 후속 프로세스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