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과 수익 요소(Cost and Revenue Element) : 원가요소 회계(Cost Element Accounting)
1차 원가요소를 통해 타 Module 발생 데이터 집계 / 2차 원가요소를 통해 CO Module 데이터 가공 및 정산
개요
공통적으로는, G/L Account 내에서 Cost Element Category 속성을 통해서 관리되는 것이 원가요소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원가요소라는 명칭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나 여전히 Controlling Part 에서는 Data Flow 의 기초가 되는 기준정보 중 하나이다.
원칙적으로 돌아가면, 관리회계에서 Focusing 대상이되는 Account 는 Profit & Loss Account 이다.
그러므로 Profit & Loss Account 에 대해서 기술적으로 Revenue or Cost Element 를 선택하고 세부적으로는 Cost Element Category 속성을 등록하는 것이다.
Cost Element Type
① Revenue Element
Cost Element Category 에서 (11, 12) 등으로 지정한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Profitability Analysis 연관이 된다.
위의 계정을 사용하되, CO account assignment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발생한다.
추가로 Cost Center 를 입력했더라도 오류 메시지가 발생한다.
Cost Element Category 가 11 (매출) 또는 12 (매출차감) 로 지정된 계정은 기본적으로 Profitability Analysis 영역과 관련이 되므로, 수익성세그먼트 입력이 필수가 된다.
② Cost Cost Element
보통 원가 또는 비용 계정을 의미하는데, Cost Element Category 를 1번 등으로 지정한 경우이다.
역시나 Cost Element Category 가 1번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CO Assignment 정보가 없을 때에는 동일한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관리회계에서는 아래 2가지 설정을 통해서 Revenue or Cost Element 를 정의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CO assignment 정보의 입력을 SAP 표준 기능 관점에서 강제할 수 있게 된다.
CO assignment 값 관리가 강제된 상황에서는, 각 회사의 상황에 맞는 방식으로 자동 추출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도록 시스템 Logic 을 설계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G/L Account Type : Primary Costs or Revenue
G/L Account Type 에서 관리회계에서는 주로 Primary Cost or Revenue 와 Secondard Costs 를 사용하게 된다.
Cost Element Category : Primary cost/cost-reducting revenues
G/L Account Type 을 Primary Cost or Revenue 와 Secondard Costs 로 선택한 상황에서, 용도에 맞게 Cost Element Category 를 지정하게 된다.
적정한 Cost Element Type 을 선택한 이후에만, 필요한 프로그램에서 해당 Cost Element 가 조회되게 된다.